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리뷰카테고리

나스를 통해 설치하는 네트워크 카메라, 시놀로지 TC500 / BC500

단순하게 팀원 혹은 가족 구성원들에게 파일들의 공유 및 기타 설정 등을 위한 네트워크 스토리지인 나스는 최근 낸드 플래시 기반의 스토리지가 컴퓨터 혹은 노트북에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분위기에 맞물려서 사실상 느리고 큰 용량의 스토리지 보다는 빠르고 작은 용량의 스토리지가 컴퓨터, 노트북에 사용된다.  특히나 낸드 플래시 기반의 스토리지는 속도와 더불어서 저전력이라는 장점까지도 갖게 되면서 더욱더 가속화 되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커다란 크기의 용량을 갖고 있는 동영상, 음성 파일 혹은 로우 파일 방식의 이미지들은 어딘가에 저장이 되어야 하고 공유가 되어야 다른 구성원들이 이를 공유, 편집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네트워크에 24시간 3654일 저전력으로 가동되는 나스의 도입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적인 항목이다.  파일 기반의 공유 나스로 사용하는 것 외에 최근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CCTV 카메라 (IP 카메라)가 조금씩 판매량이 늘고 있는데 이는 두가지 부분에서 이유라고 볼 수 있다.  네트워트에 PoE를 지원하는 스위치 허브를 사용하게 되면 CAT6.E 정도의 랜 케이블만 사용하게 된다면 하나의 케이블을 통해 전력과 데이터를 동시에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 구성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더라고 랜 케이블 하나만 연결해 주게 되면 네트워크 구성을 쉽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PoE 지원 장비들의 가격 하락 또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오늘은 시놀로지 나스를 사용하는 분들이라면 쉽게 설치할 수 있는 시놀로지의 네트워크 카메라 혹은 IP 카메라인 BC500, TC5000 를 실제 나스에 연결해서 어떻게 사용이 가능한지 천천히 확인해 보도록 하겠다. 


■ 실외용 방수-방진 IP67 지원, 시놀로지 BC500



▲ 간략 스펙 :  IP 카메라/박스형/실외용/유선랜/IP/500만화소/2880x1620/IR-LED: 4개/야간가시거리: 30m/렌즈(초점): 2.8mm/스마트폰모니터링/프라이버시 모드/PoE/동작감지/역광보정/야간(주간)자동전환/적외선LED/방수(방진)/메모리저장/12V DC/4.8W/IP67/크기: 110 x 161mm/무게: 353g/NDAA 준수/TTA 준수



▲ 시놀로지 BC500 모델의 외형은 우리가 실외에 흔히 볼 수 있는 터렛 혹은 블릿 형태의 카메라로 실외에서도 설치가 가능하지만 실외 설치에 초점이 맞추어진 제품이다.  



▲시놀로지 BC500 모델 에는 천정 혹은 벽면에 마운트할 수 있는 나사 등이 제공되며 추가적인 부품으로는 랜 케이블 혹은 12V 어댑터 케이블을 연결했을 때 방수 등의 실링을 할 수 있는 부품 등을 제공한다.  이 부분은 아래 TC500 에서도 동일한 부품들이 제공된다. 




▲ 시놀로지 BC500 모델 카메라 부분과 볼 마운트 방식의 브라켓이 일체화 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후면에는 배선을 위한 케이블이 자리 잡고 있다. 



▲ 시놀로지 BC500 하단 부부에는 SD 마이크로 메모리를 장착할 수 있는 별도의 슬롯을 갖고 있는데 나스에 촬영된 화면을 저장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지만 필요에 따라서 카메라 본체에서 (엣지 단)에서 직접 동영상 저장도 가능하다.  방수를 위한 나사 부분도 실링 처리가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시놀로지 BC500 모델은 PoE를 지원하지 않은 스위치 허브에 연결되지 않는다면 추가적인 12V 어댑터를 구입해 전력을 공급해 주어야 한다.  어뎁터 연결을 위한 포트의 경우는 사용하지 않을 때 방수 등을 위한 별도의 마게가 적용되어 있다. 




▲ 시놀로지 BC500 모델도 실내에서 장착 사용할 수 있는데 국내에 대부분 사무실 실내 환경이라면 위 사진 처럼 천장에 장착할 수 있다. 


■ 실내용, 시놀로지 TC500 



▲ 간략 스펙 : IP 카메라/돔형/실내용/유선랜/IP/500만화소/2880x1620/IR-LED: 4개/야간가시거리: 30m/지원속도: 30fps/렌즈(초점): 2.8mm/스마트폰모니터링/프라이버시 모드/PoE/동작감지/소리감지/역광보정/야간(주간)자동전환/적외선LED/방수(방진)/메모리저장/12V DC/4.8W/IP67/IK10/NDAA 준수/TTA 준수/크기: 97 x 88mm/무게: 387g






▲ 시놀로지 TC500 모델의 외형은 실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돔형태이며 앞서 소개란 BC500 과 동일한 구성 물 및 악세서리 그리고 PoE 지원 스위치 허브와의 연결 혹은 추가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12V 어댑터를 통한 연결 등을 할 수 있다.  



▲ 시놀로지 TC500 모델은 설내에 돔 형태로 설치가 되는 제품인데 위 사진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원터치로 쉽게 카메라 본체와 분해가 가능한 가이드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천장에 가이드 부분을 미리 마운트 한 후 각도에 맞추어서 카메라 본체를 연결해 주면 된다. 




▲ 시놀로지 TC500 모델도 역시 RJ45 랜포트와 12V 어댑터 연결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케이블 구성은 BC500 과 대동소이하다.  우리는 테스트를 위해 PoE 지원 스위치 허브로 연결하게 될 것이므로 12V 어뎁터 포트 부분은 사용하지 않을 것이다. 




▲ 시놀로지 TC500 모델 안쪽으로는 엣지단에 독립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SD 메모리 슬롯을 갖고 있다.  




 

시놀로지 나스 DVA3221 에 연결해 보니 


우선 2개의 카메라를 연결하기 위해선 당연하게도 같은 로컬 네트워크 상에서 동일한 서브넷에 나스와 BC500, TC500 이 속해 있어야 한다.  당연하게도 DHCP 를 통해 설정되어 있는 IP 및 서브넷을 자동적으로 가지고 오므로 특별한 설정 부분이 필요치 않다.  단지 고정적으로 아이피를 주기 위해선 추후에 해당 카메라 마다 가지고 있는 어드민 페이지로 접속해서 수동으로 설정을 해주면 된다. 시놀로지 DVA321의 경우는 최대 8개의 아이피 카메라 라이센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라이센스를 갖고 있는 카메라를 구입하게 된다면 어렵지 않게 나스에 추가 및 삭제할 수 있다. 


우선 브레인박스에서 사용하고 있는 DVA3221 에 TC500, BC500 의 카메라의 연결은 DVA3221 가 갖고 있는 4개의 1Gbps RJ45 랜포트에 직접 연결하지 말고 카메라가 연결되는 PoE 스위치 허브와 연결되는 상위 레이어 스위치 허브에 연결해 주게 되면 외부 인터넷 공유기에서 IP 를 자동적으로 할당 받은 후, DVA3221 에서 자동적으로 인식, 세팅할 수 있도록 해준다.  즉, DVA3211 나스와 같은 로컬 네트워크 상에 스위치 허브와 IP 카메라 혹은 네트워크 카메라가 설치되면 쉽게 추가, 삭제가 가능하다.






▲ 시놀로지 패키지 센터를 통해 시놀로지 서베일런스 스테이션과 서베일런스 비디오 익스텐션을 설치해 주는데 서베일런스 비디오 익스텐션은 엔비디아의 GPU 를 활용, AI 관련된 촬영을 위한 API 로 DVA3211 처럼 엔비디아 GPU가 탑재되어 있는 나스만 설치가 가능하다.  그리고 녹화가 되는 기본적인 스토리지명을 설정해 주고 자동적으로 포트를 열여주는 설정을 해주게 되는데 이를 통해 외부에서 쉽게 카메라에 접속해서 지정된 혹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 앞서 설명을 했듯이 DVA3221 나스가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 허브에 시놀로지 BC500, TC500 이 정상적으로 연결 되어 있다면 다음과 같이 각각의 카메라 마다 초기 작업을 해줘야 하는데 초지화 작업은 카메라 마다 계정 및 비밀번호를 생성해주는 순서로 진행된다.  이 부분까지 정상적으로 진행하게 되면 스냅샵 부분에 카메라가 촬영하고 있는 화면이 보이기 시작한다.





▲ DVA3211에 설치되어 있는 서베일런스 스테이션을 통해 설정이 완료 된 후 촬영되는 화면에 대한 저장 방식 등을 설정해주고 각기 카메라 들의 최신 펌웨어를 다운로딩 받아서 업데이트까지 이루어지게 되면 이제 완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설정을 마치게 된다. 


시놀로지 BC500에 접속 후 설정 및 모니터링 하기 







 

시놀로지 BC500 에 접속하게 되면 마치 유무선 공유기의 어드민 페이즈와 동일한 메뉴 및 기타 설정 등을 볼 수 있는데 네트워크 카메라 이다 보니 자동적으로 DHCP를 통해 IP 를 받을 수 있으며 네트워크 관리자는 필요에 따라서 고정 아이피로 설정을 할 수도 있다.  대다수의 카메라를 운영하게 된다면 자동 IP 설정 보다는 관리를 위해 수동으로 특정한 아이피를 연번으로 넣어주는 것이 관리하는 것이 편리하다. 


오버뷰 메뉴를 통해 카메라로 촬영이 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음은 물론이고 카메라에 촬영되는 화각을 조절할 수 있고 카메라 마다의 아이디 및 비밀 번호의 설정 등이 가능하고 로그 파일을 통해 카메라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작동 등을 확인할 수 있다. 



▲ 시놀로지 나스 DVA3221 의 서베일런스 스테이션 앱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카메라의 모든 부분들을 설정할 수 있으며 실시간 그리고 이벤트 감지 등으로 인한 녹화 등을 타임 별로 볼 수 있다.  


독립적인 컴퓨터에 모니터링 클라이언트를, 시놀로지 서베일런스 스테이션 클라이언트 



▲ 시놀로지 홈페이지를 통해 "시놀로지 서베일런스 스테이션 클라이언트" 를 다운로딩 설치한다.


단순한 공간에 하나 혹은 두개 정도의 네트워크 카메라를 연결해서 사용한다면 네트워크 관리자는 위 단락에서 봤지만 간단하게 웹 브라우저를 통해 해당 카메라의 ip로 접근 로그인을 통해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DSM 에 접속하여 해당 앱으로 모니터링 및 다양한 옵션 등을 설정, 저장할 수 있다.  시놀로지 홈페이지를 통해서 서베일런스 스테이션 클라이언트를 다운로딩 받는데 운영체제에 설치가 되는 버전과, 윈도우 상에 설치가 되지 않고 압축 해제 후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버전을 선택 할 수 있다. 





▲ 시놀로지 서베일런스 스테이션 클라이언트를 실행하게 되면 네트워크 상에 시놀로지 나스를 검색해주면 해당 나스를 클릭하여 나스의 어드민 계정과 함께 비밀번호를 입력해주게 되면 DSM 상에서 실행되는 서베일런스 스테이션과 동일한 화면을 볼 수 있다. 


Deep Video Analytics 앱




 

시놀로지 딥 비디오 어날리틱스 앱을 실행 시키게 되면 촬영하게 되는 화면에 인식되는 차량, 사람 등을 인식하여 별도로 관리할 수 있다.  우선 총 4가지 옵션으로 설정이 가능한데 사람과 차량 번호 인식을 할 수 있고 화면 내에 특별한 공간을 지정 하거나 인위적인 펜스 (라인)을 형성해 그 부분을 넘어서게 되면 자동적으로 이벤트로 인식, 레코딩 후 별도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 외에 입구, 출구 등의 영역을 설정하여 오가는 사람들의 카운팅을 할 수 있으며 동일하게 차량의 번호판을 자동적으로 인식하여 이 역시 별도의 카운팅 그리고 녹화를 할 수 있다.






▲ "사람과 차량" 디텍션 옵션을 선택하여 카메라의 위치 설정, 특정 공간에 들어오거나 나가거나 하는 옵션 등을 통해 이벤트로 녹화 할 수 있는지 선택을 하고 타임 라인을 하루 단위로 녹화해 구분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  긜고 마지막으로 카운팅을 할 영역을 선택해 주게 되면 해당 영역을 인식해 녹화를 해준다.  



▲ 녹화가 된 이벤트는 자동적으로 일 별로 축출을 해주며 해당 일에 촬영된 모든 부분들을 클립 등을 모아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해준다.   촬영 되는 카메라의 이름으로 별도로 저장되므로 상당히 분류 등이 쉽다. 


■ Face Recognition 앱


또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사람의 얼굴을 인식 자동적으로 분류를 해줄 수 있는 앱도 제공되는데 이 부분도 사용하기에 따라서 상당히 유용하다.  특히나 미리 등록되어 있는 직원들 혹은 가족 구성원들의 사진을 업로드 후 사용을 해야 하며, 등록된 사람들 별로 다양한 필터를 적용하여 검색 등을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 앱을 사용하게 되면 보안상 편리한 설정이 가능한데  만약 등록되어 있지 않은 사람이 침입 등을 하게 된다면 자동적으로 녹화 되게 할 수 있다. 



▲ 이 앱을 사용하기 위해선 앞서 봤던 앱과 동일하게 촬영하게된 카메라를 선택해 주고 이름 등을 지정해 주면 된다.   




▲ 안면 인식을 하게 될 영역을 카메라에서 선택해주면 되는데 가능하면 촬영하는 전체 영역을 설정해 주면 좋을 듯 하고 분류, 인식을 위한 사람들의 사진을 미리 등록을 시켜주면 된다.  그렇게 되면 촬영되는 영상 중에서 해당 얼굴이 인식 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녹화, 분류를 해주게 된다. 


■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센터


마지막으로 보안상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네트워크 기기들을 위한 앱을 추가, 설정할 수 있는데 이는 역시 같은 로컬 네트워크 상에 연결이 되었을 때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나 개인적으로 사무실 등에서 도어 (출입구)를 자동적으로 열어줄 수 있는 Axis Door Controller 등을 설치 후 앱을 통해 설정, 사용할 수 있다.   그 외에 다양한 확장 가능한 앱을 설치 사용해 볼 수 있으니 이 부분도 한번 둘러보는 것이 좋을 듯 하다. 




 


시놀로지 나스의 확장성, TC500, BC500 네트워크 카메라


나스에 대해서 많이 전문적으로 설정하고 사용하고 있는 분들이라면 가장 기본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의 공유 등을 위한 협업을 위한 환경 그리고 가정에서는 가족 구성원들의 스마트폰 혹은 태블릿 등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이미지, 동영상, 파일 등의 백업 정도를 떠올 것이다.  물론 여기에서 조금 더 기능적인 것을 고려한다면 동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 등의 스트리밍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여기까지가 아마도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나스의 활용 부분일 것이다.    오늘 소개한 시놀로지의 네트워크 카메라 2종은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나스를 파일 기반의 활용에서 조금 더 확장할 수 있는 방법이다.  특히나 공용장소 그리고 가정에서도 반려 동물 등을 키우고 있다면 한번 정도 설치해서 사용해 볼 수 있는 부분이다.  오늘 소개한 2개의 네트워크 카메라는 크게 보면 실내, 실외 용으로 구분할 수 있지만 사용자의 다양한 환경에 맞추어서 사용해도 될 정도로 넉넉한 방수, 방진 기능을 기본적으로 제공한다.  그리고 PoE 지원 스위치 허브를 사용하고 있다면 설치 등에 관한 스트레스가 없을 정도로 쉽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최근에 출시된 시놀로지의 DS925+, DS725+ 에서도 최대 2개의 네트워크 카메라를 장착할 수 있는 라이센스를 포함하고 있는데 오늘 소개한 이 두가지 카메라를 연결 사용할 수 있다.  단지 이번 콘텐츠를 위한 사용된 DVA 시리즈와 차이점은 AI 관련된 기능, 옵션 등을 사용할 수 없는데 이는 DVA3221에는 엔비디아의 GPU * GTX1550 이 기본 탑재되어 이 AI 관련된 옵션을 사용할 수 있다. 



▲ 시놀로지 나스 - 네트워크 카메라를 사용하게 되면 2차적으로 클라우드에 백업할 수 있는 시놀로지 C2 Backup for Surveillance 를 사용할 수 있다.  


전문적으로 모니터링을 필요로 한 보안 환경을 필요로 한다면 시놀로지 나스 - 시놀로지 네트워크 카메라는 총 3가지 저장 공간에 모니터링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우선 앞서 봤듯이 TC500, BC500 카메라 본체에 내장되어 있는 마이크로 SD 메모리 카드에 엣지 단에서 저장할 수 있으며 두번째는 이 카메라와 연결된 나스에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마지막으로 조금 더 완벽하게 높은 보안성 및 데이터 보존을 위한 모니터링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시놀로지 C2 백업 에 유료로 가입할 수 있다.   시놀로지가 자체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2곳, 해외의 시놀로지 데이터 센터에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카메라의 파손과 더불어서 나스의 파손 까지도 생길 수 있는 강력한 범죄 등에도 시놀로지 클라우드 단에 모니터링 영상을 저장할 수 있으므로 완벽에 가까운 카메라 보안 모니터링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오늘은 간단하게 시놀로지 나스와 더불어서 시놀로지에서 판매하고 있는 2개의 네트워크 카메라를 통해 단순히 파일 기반의 나스 역할에서 조금 벗어나 보안적인 측면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부분을 알아봤다.  국내에서는 세콤, KT 등에서 이와 비슷한 NVR - 네트워크 카메라 서비스를 월 단위로 과금하는 서비스를 하고 있다.  이런 보안 회사에서 받을 수 있는 서비스는 단순히 모니터링할 수 있는 역할 하나에 국한이 되며 클라우드에 저장 되는 서비스 등도 받을 수 없고 가장 매월 단위로 마치 구독 서비스와 같이 서비스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앞선 보안 서비스 업체에서 카메라의 숫자에 따라 과금이 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서비스를 받은 계약 기간에 따라서 비용을 매월 지불한다.  통상적으로 사무실 내부에 NVR 과 2~3개 정도의 실내 카메라를 설치하게 되면 계약 기간에 따라서 7 ~ 15만원 정도를 매월 지불해 줘야 한다. 


하지만 사무실 혹은 가정에서 시놀로지 나스를 사용하고 있다면 시놀로지 BC500, TC 500 카메라의 구입 비용 만으로도 본체의 마이크로 메모리와 나스에 저장 등, 2개의 레이어로 별도 영상을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적인 측면을 잘 고려한다면 가성비 좋은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서베일런스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특히나 공용 장소에서 많은 인원들이 오고 가는 환경이라면 이번 콘텐츠를 위해 사용된 시놀로지 DVA 시리즈 나스로 구축을 하는게 AI 기능 (안면 인식, 출입 인원 등의 통제 및 실외의 경우 자동자 번호판 인식 등)을 사용할 수 있어 보안 업체에서 서비스 받을 수 있는 보안 서비스 보다 앞선 보안 환경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추천 0 비추천 0

SNS공유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메인 배너



댓글(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