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리뷰카테고리

네트워크 스위치 허브를 넘어서 전력 전송까지, ipTIME PoE Hub PoE8002Q, PoE800Q, PoE401Q

유선과 무선, 최근 와이파이 장비들이 늘어나게 되면서 무선 장비들의 사용빈도가 높아지고 있지만 여전히 유선 인터넷이 갖고 있는 장점은 분명히 존재하다.  최근 들어서는 유선 랜 케이블을 통해 전력 및 데이터를 동시 전송 받아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장비들이 늘어나고 있는데 이를 사용하기 위해선 PoE 를 지원하는 스위치 허브를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오늘은 목적, 예산에 맞게 다양한 포트로 만들어진 아이피타임의 PoE 스위치 허브 3종을 소개하고자 한다. 


■ EFM ipTIME PoE Hub PoE8002Q 스위치 허브



▲ 상세 스펙 : 스위치허브 10포트 1Gbps 인터페이스:RJ-45 최대 130W PoE+:8포트 Uplink PoE Full-Duplex 가로:190mm 세로:100mm 높이:26mm




▲ EFM ipTIME PoE Hub PoE8002Q 스위치 허브 에는 본체 외에 추가적인 어뎁터 및 AC 케이블, 설명서/보증서를 제공한다. 





▲ EFM ipTIME PoE Hub PoE8002Q 스위치 허브에는 총 8개의 RJ45 포트와 2개의 업링크 포트를 갖고 있다.  그래서 실제적으로 모든 포트 10개를 사용할 수 있어서 확장성이 상당히 높다고 볼 수 있다. 




▲ EFM ipTIME PoE Hub PoE8002Q 스위치 허브는 전체 스틸 소재로 마감이 되었으며 바닥면에는 천장 혹은 벽면 등에 마운트할 수 있는 2개의 홀을 제공한다.


▲ EFM ipTIME PoE Hub PoE8002Q 스위치 허브 에는 총 3가지 관리 모드를 제공하는데 간단하게 딥-스위치로 쉽게 설정이 가능한다.  이 스위치를 통해 사용할 수 있는 PoE 모드는 아래와 같다.  


● V-LAN : 총 8개의 포트 당 서로 다른 버츄얼-랜 설정을 통해 하나의 스위치 허브에 모든 장비들이 연결되지만 논리적으로 분리가 된 로컬 네트워크로 구분이 가능하다.  설정된 각기 버츄얼 랜은 서로의 네트워크에 넘어가지 못하는 독립적인 랜 설정이 가능하다.


● EXT : PoE 에는 기본적으로 100m 정도의 길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때 각기 포트들은 포트당 15.4W, 최대 30W 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때 데이터 전송은 100Mbps 로 이루어진다.  ENT 모드를 설정할 경우 최대 250m 까지 전송이 가능하며 이 때 각기 포트는 동일한 전력을 전송할 수 있으나 데이터는 10Mbps 로 줄어든다. 


● WATCHDOG : 무인으로 운용되고 있는 PoE 장비들이 많다보니 이상 유무 특히나 다운 등의 문제가 생겼을 때 네트워크 관리자는 물리적으로 리부팅을 해줘야 한다.  이 워치독 설정을 하게 되면 연결된 PoE 장비가 5분간 전력을 입력 받지 못하게 되거나 작동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을 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장비를 강제 리부팅 시켜준다. 


■ EFM ipTIME PoE Hub PoE800Q



▲ 간략 스펙 : 스위치허브 / 8포트 / 100Mbps / 인터페이스: RJ-45 / 최대 130W / PoE+: 8포트 / Uplink / PoE / Full-Duplex / 가로: 155mm / 세로: 86mm / 높이: 26mm








 

앞서 봤던 EFM ipTIME PoE Hub PoE8002Q 에서 포트 숫자가 줄었으며 각기 포트당 최대 30W 까지 출력을 할 수 있는 제품이다.  총 8개의 포트 중에 하나의 포트는 업링크 전용 포트로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다.  그리고 딥-스위치를 통해 V-LAN, Ext, WATCHDOG 모드를 지원한다. 


■ EFM ipTIME PoE Hub PoE401Q 



▲ 간략 스펙 : 스위치허브 / 5포트 / 100Mbps / 인터페이스: RJ-45 / PoE: 4포트 / 최대 65W / Uplink / 과전류 방지 / PoE / Full-Duplex / 가로: 200mm / 세로: 118mm / 높이: 44mm








 

EFM ipTIME PoE401 스위치허브 각기 포트당 최대 100 Mbps  속도를 낼 수 있으며 작은 크기를 갖고 있는 만큼 소호 사무실에서 스위치 허브의 기능 외 PoE를 지원하는 ip 카메라, 엑세스 포인트 등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4개의 랜 포트와 더불어서 하나의 업링크 포트를 갖고 있기 때문에 총 5개 랜 포트로 넉넉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오늘 소개한 스위치 허브 중에서 가장 작은 크기 및 포트 숫자를 갖고 있는 만큼 최대 65W 하나의 포트 당 최대 30W 출력이 가능하다. 


로컬 네트워크에 다양한 네트워크 장비 확장을...


앞서 설명을 했듯이 PoE를 지원하는 장비들, 특히나 최근에는 네트워크 카메라 혹은 CCTV 카메라 등을 보안상의 이유로 많이 사용한다.  이 대부분의 네트워크 카메라는 PoE를 통해 기존의 랜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 및 전력을 동시 전송하므로써 정말 어렵지 않게 기존에 포설되어 있는 랜 케이블을 통해 이런 장비들을 연결, 사용할 수 있다.  PoE 장비들을 연결하기 위해 가장 중요하게 봐야할 부분은 바로 포설된 혹은 포설해야 되는 랜 케이블의 길이다.  오늘 기사를 통해 소개한 3가지 PoE 스위치 허브 들은 모두 기본적으로 100m 를 지원하며 허브에 위치하고 있는 딥-스위치를 통해 Ext 모드로 설정해 최대 250m 사용할 수 있어서 그 범용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랜 포트의 속도는 최대 1Gbps 부터 랜 길이에 따라 최소 10Mbps 속도를 얻을 수 있는데 하나의 네트워크 카메라 정도를 1080p @ 30fps 정도를 설정하게 된다면 무난하게 사용할 수 있는 속도를 제공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자신이 연결될 장비의 숫자에 맞추어서 포트 숫자를 넉넉하게 계산해 오늘 소개한 3개의 PoE 스위치 허브 중에서 하나 정도를 구입하게 된다면 가성비 좋은 로컬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추천 0 비추천 0

SNS공유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메인 배너



댓글(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