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인터넷 유선 인터넷 서비스는 100Mbps 급을 기본으로 1Gbps, 2.5Gbps, 그 이상의 유선 인터넷 속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시대가 도래했다. 최근 몇 몇 유튜버를 통해 1Gbps 급 이상의 인터넷 서비스 문제점이 발견되어 큰 이슈가 되기는 했지만 현재의 인터넷 속도 보다 빠른 속도를 필요로 하게 되었고 필요한 환경이 조금 더 빠르게 오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가정에서는 이 빠른 인터넷 속도를 느끼기 위해서는 와이파이6 를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유무선 공유기를 설치하고 사용하면 쉽게 해결이 되지만 기업내 혹은 엔터플레이즈 환경에서는 보다 높은 수준의 백-본 혹은 유선 네트워크 설비가 필수이다.
1Gbps 급 이상의 속도와 더불어서 최근 크게 각광을 받는 네트워크 기술 중에 하나는 바로 "PoE" 이다. 이 PoE 는 기존의 네트워크 유선 라인을 통해 데이터 및 전력을 동시에 전송하므로써 CAT5E 케이블을 기준으로 약 100미터 까지 기존의 랜 케이블을 통해 이를 지원하는 다양한 장비를 쉽게 연결 사용할 수 있다. 이런 유선 인터넷 환경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일까? 다양한 인터넷 장비들을 빠르게 연결하고 내부 혹은 외부 데이터 전송 들을 병목 없이 처리할 수 있는 "네트워크 허브" 의 역할이 상당히 중요하다.
오늘 소개할 스위치 허브는 상당히 독특한 컨셉으로 디자인된 스위치 허브로 현재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1Gbps 스위치 속도를 기본으로 광 모듈 지빅을 사용한 최대 10Gbps 까지 지원하므로 향후 몇 년 후까지도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다. 그리고 제품이 사후 보증 기간이 평생이므로 한번의 투자로 몇 년 후에 늘어나는 최대 네트워크 속도에 맞추어서 사용할 수 있어 상당히 큰 장점을 지닌 스위치 허브이다. 과연 이 제품이 어떤 특징으로 만들어 졌는지 천천히 살펴보도록 하자.
■ 1Gbps, 2.5Gbps, 5Gbps, 10Gbps까지 강력한 엔터플라이즈 스위치 허브, 넷기어 MS510TX
▲ 간략스펙 : 스마트멀티기가스위치 / 4포트 1000Mbps(기가비트) + 2포트(2.5Gbps) + 2포트(5Gbps)+ 1포트 (10Gbps) + 1SFP+ (1G/10G) / USB 1포트 / 스위칭 용량 78Gbps / QoS / IGMP / Lifetime Warranty / 10Gbps(10기가비트)
네트워크 스위치 허브는 완제품 성향이 강한 제품이기 때문에 별도의 조립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서버랙 등에 마운트 하기 위한 간단한 부품들 정도만이 포함되어 있다. 이 구성물은 PoE를 지원하는 상위 모델인 MS510TXPP 와도 크게 다르지 않다.
스위치 허브의 좌측에는 이 스위치 허브의 작동 상태 및 팬의 작동 여부를 쉽게 알려주는 인디케이터 LED 가 위치해 있으며 리셋 및 기기의 설정을 초기화 하는 딮 스위치도 위치하고 있다.
첫번째 4개의 포트는 최대 1Gbps 급 성능을 내는 포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녹색으로 점멸이 될 때 1Gbps 로 작동이 되며 100, 10Mbps 급이 경우는 노랑색으로 점멸이 된다. 이 LED 의 색상을 통해 사용되어지는 케이블 및 입력단의 속도를 직,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5번째 및 6번째 포트의 경우는 최대 2.5Gbps 급 성능을 내는 포트인데 기본적으로 최대 1Gbps 급 성능을 낸다. 앞서 봤던 4개의 랜포트와는 상급 속도를 내게 된다. 그리고 그 옆쪽에 자리를 잡고 있는 7번과 8번 포트는 최대 5Gbps 혹은 2.5Gbps 속도를 낼 수 있으며 기본적인 속도는 5번과 6번 포트와 동일한 1Gbps 속도를 낸다.
마지막 9번과 10번 포트는 최대 10Gbps 속도를 낼 수 있는 포트로 앞서 봤던 다른 포트의 모든 속도를 낼 수 있는 높은 하위 호환성을 지닌 포트이다. 그리고 10번째 포트의 경우는 지빅 이라고 불리는 광통신 모듈을 장착할 수 있는 포트로 이 포트의 경우는 상위 스위치 허브 혹은 라우터에 광케이블을 통해 연결할 수 있다. 이 연결을 위해서는 이 제품과 호환성이 높은 지빅은 구입해서 장착해야 하는데 상위에 연결되는 장치와 호환성이 확보된 지빅을 구입해서 장착하는 것이 좋다.
제품의 후면과 측면은 특별할 것이 없는 전형적인 허브의 외형을 지니고 있으며 좌측에는 팬이 장착되어 있는 홀을 볼 수 있다.
■ 멀티기가비트 스위치 허브에 PoE 까지 지원, 넷기어 MS510TXPP
▲ 간략 스펙 : 스마트멀티기가스위치 / 4포트 1000Mbps(기가비트) + 2포트(2.5Gbps) + 2포트(5Gbps)+ 1포트 (10Gbps) + 1SFP+ (1G/10G) / USB 1포트 / 최대 180W 지원 -> PoE : 8포트, 포트당: 15.4W / PoE+ : 6포트, 포트당: 30W / QoS / IGMP / Lifetime Warranty
앞서 봤던 넷기어 MS510TX 와 동일한 포트 구성 및 외형까지도 동일하지만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PoE 주변기기들을 연결할 수 있는 상급 제품이라고 볼 수 있는 "넷기어 MS510TXPP" 는 기본적인 스위치 허브의 성능 외에 PoE를 지원하는 다양한 네트워크 장치를 연결 사용할 수 있는 상급 제품이다.
앞서 봤던 MS510TX 와 동일한 인디케이터 LED 및 딮 스위치 구성을 갖고 있으나 PoE 장비와 연결시 최대 출력을 알 수 있는 인디케이터 LED 가 추가적으로 위치해 있다.
앞서 봤던 MS510TX 와 가장 큰 차이점은 1번 부터 8번까지의 포트에 포트당 최대 30W 정도 전력을 송출해 줄 수 있는데 이를 통해 PoE 장비를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해준다. 각기 제품마다 차이는 있지만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경우는 10W 정도의 소비전력을 갖고 있으며 1080p 해상도를 갖고 있는 실내 혹은 실외 카메라의 경우는 6 ~ 10W 정도의 소비전력을 갖는다. 그래서 만약 이 스위치 허브에 PoE 지원 액세스 포인트 및 네트워크 카메라를 장착하려고 한다면 크게 문제 없는 넉넉한 포트당 출력을 지원하며 만약 이 제품을 설치하여 사용시 주의해야할 점은 사용하고 있는 네트워크 케이블의 종류와 더불어서 최대 100m 정도의 길이까지 전력 및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치 지식을 필요로 한다.
■ 기존 유선 인터넷 라인의 활용의 극대화, 넷기어 MS510TX / MS510TXPP
오늘 소개한 이 두가지 스위치 허브는 동일한 디자인과 컨셉으로 설계된 고성능 스위치 허브이다. 당연히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 그리고 사용처에 따라 선택하면 된다.
우선 이 제품을 메인 스위치 허브로 사용하기에는 조금은 부족한 포트 숫자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10개 이상의 유선 네트워크 장비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이 제품의 하위에 많은 숫자의 스위치 허브를 연결해서 사용해야 한다. 그래서 외부 인터넷이 들어오는 가장 첫번째 레이어에 위치해야 이 제품의 최대 성능을 낼 수 있다. 그래서 넷기어 MS510TXPP 는 이 제품을 타켓으로 한 시장은 30여명 이하의 유선 인터넷 환경을 필요로 한 사무실에 적용하는 것이 좋을 듯 하며 PoE 장비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려는 기업들, 특히나 PoE 를 지원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카메라 설치를 하고자 하는 분들이라면 이 제품은 최적의 선택이라고 볼 수있다. 총 8개의 포트에서 각기 최대 30W 의 PoE 출력이 가능하므로 9번째 포트에 1Gbps 급 이상의 유선 네트워크용 스위치 허브를 연결하고 총 8개의 네트워크 카메라를 설치 편안하게 운용할 수 있다.
그리고 PoE를 지원하지 않은 하위 모델인 넷기어 MS510TX의 개인적으로 가장 추천을 드리고 싶은 환경은 최근 5인 이하의 크리에이터들이 모여 유튜브, 트위치 및 아프리카 등에 방송을 실시간을 송출하거나 혹은 컨텐츠를 올리는 그룹 에게는 최고의 선택이 아닐까 싶다. 이 스위치 허브만 사용하게 된다면 내부에 작업 파일 등을 공유하여 빠르게 편집 혹은 네트워크 스토리지 (나스) 등에 데이터 저장, 공유, 백업 등도 상당히 빠르게 할 수 있다. 그래서 외람되지만 초기에 단점이라고 이야기 했던 적은 숫자의 포트 숫자는 이 작은 그룹의 크리에이터들에겐 작업 시간의 단축을 통해 최고의 효율을 낼 수 있는 스위치 허브가 아닐까 싶다.
3~10인이 소규모로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의 공유, 백업 등을 자주 하는 분들이라면 기존의 1Gbps 급 스위치 허브를 버리고 기존의 유선 랜 케이블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편리하게 2.5Gbps 혹은 5Gbps 급의 네트워크 성능을 맛볼 수 있길 바란다.
최신리뷰
-
리뷰카테고리
-
리뷰카테고리
-
리뷰카테고리
-
리뷰카테고리
댓글(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