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즈락의 게이밍 브렌드인 "Phantom Gamig" (이하 PG) 는 지난 인텔의 300 시리즈 칩셋 메인보드에서 처음 도입이 되었으며 작년에는 AMD 500 시리즈 칩셋에 적용이 되었으며 이번 인텔의 400 시리즈 칩셋에 들어서도 출시가 되었다. 이번에는 조금 더 특별함을 주기 위해 "Velocita" (벨로시타) 라는 별칭을 달고 PG 라인업에서 최고 등급의 제품이 출시되었다. 이 메인보드의 레이아웃을 유심해 보게 되면 에즈락의 간판 모델인 타이치와 비슷한 거 같기도 하고 다른 거 같기도 하도 메인보드를 많이 본 사람들이 아니라면 그 차이점을 구분하기 쉽지 않다. 그 전에 우선 이 메인보드에 붙어 있는 Velocita 는 무엇 단어일까?
● Velocita 는 이탈리어 단어로 로 Velocity 와 동일한 뜻을 가졌다. 한글로 풀이를 하자면 속도, 신속 정도의 의미로 비슷한 영어 단어들은 speed, pace, tempo 등이 있다. 그렇다 벨로시타는 이탈리어 단어 였다. 살짝 아래의 느낌이 나는 것은 필자만의 생각일까? 아마도 에즈락 본사에도 이런 비슷한 이미지로 제품명을 짓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I ASRock Z490 PG Velocita
에즈락의 메인보드 라인업 중에서 사실 잘 알려지지 않은 브랜드가 PG, 팬텀 게이밍 인데 하지만 최근 게이밍 브랜드 메인보드가 인기를 끌고 있기 때문에 다른 에즈락의 메인보드들 보다는 풍부한 액세서리를 기본적으로 제공한다. PG 로고로 디자인된 스티커를 비롯하여 에즈락 로고가 있는 벨트로 밴드도 추가적으로 제공한다.
메인보드의 전원부는 13 + 1 디지털 페이즈 구조인데 최근 더불러 페이즈 논란을 의식했는지 홈페이지 등의 상품 정보에는 13 페이즈 Dr.MOS 파워 디자인이라고 표기가 되어 있다. 메인보드의 전원부 구성은 에즈락 메인보드들 중에서 상급 메인보드 답게 탄탄하며 그 소재들의 구성도 최상이다. 프리미엄 60A 파워초크, 메모리 알로이 초크, 니치콘 12K 블랙 캐패시터 및 사운드 부분은 니치콘의 12K 블랙 캐패시터 등이 사용되었으며 50A Dr.MOS 으로 구성되어 었다.
그리고 전원부는 단순한 방열판-히트 파이프 구조의 패시브 쿨링이 아닌 보다 적극적으로 2개의 팬이 달린 액티브 쿨링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사진에서 볼 수 있는 2개의 팬 외에 IO 쉴드 덕트 안쪽을 하나의 팬이 더 들어 있어 총 3개의 팬으로 전원부를 훌륭하게 식혀준다.
파워로 부터는 이 메인보드와의 연결은 표준 24핀 커넥터와 8핀 12V 커넥터 2개 인데 전원부가 14 페이즈 라는 것을 감안하면 다른 메인보드 제조사들의 경우는 8핀 + 4핀 12V 구조 보다는 좋다고 볼 수있다. 기가바이트 및 에이수스의 메인보드들은 8핀 + 8핀 구조는 대부분 16 페이즈 이상의 구조를 갖는다.
시스템 케이스의 베젤 부분의 USB 3.2 Gen1 커넥터와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는 총 2개 이며 그 옆에는 USB 3.2 Gen2 헤더가 추가적을 위치해 있다. 내부에 많은 USB 3.0 지원 외부 연결이 많은 케이스를 쓴다면 아주 넉넉하게 연결할 수 있는 포트 구성이다.
메인보드에는 총 2개의 RGB LED 헤더와 더불어서 2개의 ARGB 헤더를 갖고 있어 넉넉하게 RGB 팬 혹은 AIO 쿨러 등과 연결하기 쉽다. 위치도 2개는 메모리 소켓 주변에 2개는 메인보드 측면 하단에 위치해 있다.
RGB LED 가 적용되어 있는 IO 쉴드 덕트 안쪽으로는 하나의 액티브 팬이 장착되어 있어 전원부의 열기를 빠르기 식혀준다. 그리고 IO 쉴드 디자인은 타이치와 100% 같다.
PCIe 슬롯 구성은 1배속 3개와 하나의 PCIe 16배속 슬롯과 PCIe 16배속 슬롯 외형이지만 4배속으로 작동하는 슬롯 이렇게 총 5개로 구성이 되는데 PCIe 8배속 슬롯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엔비디아의 SLI 까지는 지원하지 못한다. 이 부분은 이 게이밍 메인보드라는 점에서 아쉬운 부분이다.
그래픽카드를 위한 첫번째 슬롯은 에즈락의 스틸 슬롯 기술이 적용되어 있으며 PCIe Gen4 (4.0) 를 지원하는 슬롯이 미리 적용이 되어 있다. 현재 10세대 코어 프로세서에서는 Gen3 까지만 사용이 가능하며 추후 11세대 코어 프로세서를 사용하면 Gen4 로 작동된다.
메인보드의 부팅시 발생할 수있는 문제들을 확인해 주는 하드웨어 디버그와 함께 메인보드 상에는 리셋 및 파워 버튼을 갖고 있다. 이 두 개의 버튼은 모두 적색 LED 가 내부에서 은은하게 밝혀준다.
4개의 DDR4 메모리 슬롯은 듀얼 채널 구성을 통해 최대 DDR4 4666+(OC)* / 4600 / 4500 / 4400 / 4333/4266(OC) / 4133(OC) / 4000(OC) / 3866(OC) / 3800(OC) / 3733(OC) / 3600(OC) / 3200(OC) / 2933 / 2800 / 2666 / 2400 / 2133 까지 지원이 가능하며 최대 사용 가능한 용량은 128GB 이다. 그리고 인텔의 XMP 2.0 를 지원하며 슬롯 내부의 핀은 15μ 금 단자가 사용 되었다.
2개의 PCIe 16배속 슬롯 사이에는 무선 와이파이6 지원 카드를 꼽을 수 있는 M.2 Key E 슬롯이 위치해 있으며 IO 쉴드 쪽에는 안테나를 꼽을 수 있는 별도의 홀을 갖고 있다. 팬텀 게이밍 브렌드인 만큼 AX200 혹은 AX201 를 기본적으로 넣어줬으면 어떨까 하는 아쉬운 생각이 들었다.
에즈락에서는 Z490 칩셋이 네이티브로 지원하는 6개의 SATA3 포트 외에 ASMedia ASM1061 칩셋을 2개를 추가적으로 지원해 최대 6개의 SATA3 포트를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이 와 같은 방식은 에즈락의 고유한 기능이라고 볼 수 있는 부분인데 이 부분이 최대 장점은 M.2 슬롯에서 SATA3 포트를 공유하지만 ASM1061 포트인 SATA3_0_1 공유 없이 언제든지 사용이 가능해 많은 하드디스크를 장착하는 분 들이라면 이 메인보드를 선택하는 좋은 이유가 된다.
M.2 SSD 방열판이 적용되어 있는 첫번째 슬롯은 서로 마주 보듯이 M.2 슬롯이 자리 잡고 있는데 오늘쪽의 슬롯은 11세대 PCIe4.0 를 위한 하이퍼 M.2 SSD 슬롯이고 왼쪽의 슬롯은 현재 10세대 코어 프로세서에서 사용 가능한 PCIe 3.0 슬롯이다.
2개의 M.2 포트 방열판은 모두 안 쪽에 서멀 패드가 붙어 있으며 M.2_3 슬롯의 경우는 최대 22110 NVMe SSD 까지 장착이 가능하다.
메인보드의 IO 쉴드 구성은 PS2 포트를 갖고 있어 조금 아쉬운 부분이었으며 USB 3.2 포트를 6개 까지만 갖고 있었다. PS2 포트 부분을 없애고 이를 대체해 추가적으로 USB 3.2 포트를 더 넣어줬더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았다. 인텔의 내장 그래픽 코어를 위해 디스플레이포트와 HDMI 포트 를 지원하고 있다. IO 쉴드는 에즈락의 플렉서블 IO 쉴드가 적용되어 미리 메인보드에 부착되어 있다.
사진 상에서 볼 수 있는 2개의 랜포트 중에 파랑색 랜 포트는 인텔의 i219-V 컨트롤러를 통해 1Gbps 급 속도를 그리고 회색 랜 포트의 경우는 리얼텍 Dragon RTL8125BG 컨트롤로를 통해 최대 2.5Gbps 속도를 내는데 에즈락의 홈페이지를 통해 드라이버를 설치하게 되면 게이밍 랜 설정을 비롯하여 스트리밍모드, 일반 모드 및 게이밍 모드 설정이 가능해진다.
I ASRock Z490 PG Velocita 는?
에즈락의 팬텀 게이밍 시리즈 메인보드는 게이밍이라는 이미지를 주기 위해 메인보드이 전체적인 색상을 블랙-레드-그레이 로 구성해 메인보드 디자인만 보면 게이밍 메인보드라는 느낌을 쉽게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에즈락 메인보드 중에서 최상위 풀-옵션 메인보드인 "타이치"에서 몇가지 장점을 가져와 조금 아쉽다. 특히나 M.2 슬롯을 하나 사용하지 못해 최대 2개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은 어찌 보면 큰 단점으로 작용되지 않지만 SLI 미지원 부분 그리고 와이파이6 M.2 Key E 가 빠진 부분은 이 메인보드를 구입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이 아닐까 싶다. 그리고 랜 포트 역시 듀얼 랜으로 구성을 했지만 하나의 인텔 I225-V 컨트롤러를 통해 2.5Gbps 만 했어도 크게 무리가 없지 않았나 싶다.
물론 몇 가지 옵션을 제거하여 메인보드의 가격을 매력적으로 끌어내려 에즈락 Z490 메인보드 라인업 에서는 장점이 될 수 있겠지만 경쟁사들의 동급의 메인보드들은 인텔 랜 컨트롤러, SLI , 무선 와이파이6 등을 모두를 지원하고 있는 만큼 매력적인 가격대의 제품은 아닌 듯 하다. 조금 더 공격적인 가격으로 내려야 아마도 인텔 10세대 코어 프로세서를 사용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선택을 받지 않을까 싶다.
최신리뷰
-
리뷰카테고리
-
리뷰카테고리
-
리뷰카테고리
-
리뷰카테고리
댓글(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