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리뷰카테고리

윈도우7 64비트 프로에서 이엠텍 지포스 GTX 1660 STORM X NANO 6GB의 성능은?

아이러니컬 하게도 구형 운영체제인 윈도우7 에서 꾸준하게 성능 개선을 한 드라이버를 내어놓는 것은 그래픽카드 칩셋 제조사인 엔비디아와 AMD 정도 밖에 안 남은 듯 하다.  단 문제는 스팀의 하드웨어 통계에서도 볼 수 있듯이 윈도우7 64비트 환경에서 게임을 즐기는 유저들이 생각 외로 많다라는 점일 것이다.  마이크로소프트 입장에서 보면 새로운 운영체제의 이전은 게이밍 환경과도 깊은 관련이 있으며 더욱이 게이밍 환경을 주도해 나가는 그래픽카드 칩셋 제조사입장에서도 무시 못할 수치이다.  



▲ 스팀 하드웨어 통계를 보게 되면 윈도우7 64비트는 스팀 이용자 비율은 30% 에서 조금씩 낮아지고 있다. 


이런 수치로 봤을 때 만약 엔비디아에서 윈도우7 기반의 드라이버를 없앤다고 한다면 아마도 가장 좋아할 업체가 아마도 "마이크로소프트"가 아닐까 하는 생각마저도 들게 한다.   만약 그렇게 된다라면 강제적으로 윈도우10 를 써야만 하는데 현재 2020년 1월 14일에 공식적으로 서비스팩 등의 업데이트를 중단 한다고 밝혔기 때문에 윈도우7 의 수명은 이제 약 10개월 밖에 남지 않다.  그 이후 윈도우7 사용자들은 어떻게 행동을 할지 아직은 알 수 없는 부분들이다.  오늘은 간단하게 윈도우7 그리고 윈도우10 환경에서 다이렉트X 11 기반의 성능 차이를 확인해 보고자 하는데 이 두가지 서로 다른 운영체제에서 동시에 지원가능한 API는 다이렉트11 밖에는 없기 때문이다. 



▲ 윈도우7 64비트 환경에서 3DMARK 설치, 실행을 시켜보면 막상 테스트 해볼 수 있는 프리셋의 최신 버전은 파이어 스트라이크 부분 뿐이다.  


■ 이엠텍 지포스 GTX 1660 STORM X NANO 6GB 






이엠텍에서 지포스 GTX 1660 STORM X NANO 6GB 는 "나노" 라는 이름에 걸맞게 168mm 라는 상당히 작은 크기를 갖고 있다.  그래픽카드가 차지하고 있는 두께는 2슬롯으로 큰 변화는 없는데 이는 이 그래픽카드에 사용된 쿨러가 3개의 히트파이프 및 100mm 싱글 팬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이다.  이 그래픽카드는 엔비디아에서 표준으로 내어 놓은 스펙에서 코어 클럭이 높게 세팅이 되어 있는 120W 보다 보다 높은 130W 의 소비전력을 갖는다. 




전원공급기로 부터는 12V 8핀 커넥터 하나로 전원을 입력 받으며 사진에서 볼 수 있는 추가적인 4핀 커넥터는 쿨러에 장착되어 있는 100mm 쿨러를 PWM 방식으로 작동을 시킨다.  PWM  방식은 가변  RPM 으로 팬의 속도를 자동적으로 조절하는데 GPU 에 온도 변화를 미리 알아채 높은 온도를 인식하면 빠른 속도로 팬을 돌린다. 




그래픽카드의 출력 포트는 총 3가지로 디스플레이포트 1.4 와  HDMI 2.0b 그리고 듀얼 링크 DVI 포트 이다.  서로 다른 한가지 포트 종류 만을 갖고 있는 탓에 하나의 모니터를 사용하는 유저들이라면 불편함이 없지만 2개 이상의 모니터를 동일한 출력 포트를 이용하려는 분들은 조금 아쉬움이 남는 구성이라고 볼 수 있을 듯 하다.



 

■ 이엠텍 지포스 GTX 1660 STORM X NANO 6GB 의 성능은?  


● 프로세서 : 인텔 코어 i9 9900K (기본)

● 메모리 :  마이크론 텍티컬 트레이서 DDR4-2666 8GB X 2

● 마더보드 : 에즈락 Z390 타이치 - 에즈윈

● 스토리지 : 마이크론 MX 500 250GB 

● 운영체제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10 64비트 프로 (빌드 1809)  그리고 윈도우7 64비트 서비스팩2 



▲ 전체적인 신형 지포스 시리즈는 윈도우7 환경에서 오차 범위라고 볼 수 있을 정도로 작은 차이로 떨어지는 성능을 낸다.   



▲ 지포스 GTX 1060 과 지포스 GTX 1660 의 운영체제별 성능 차이 
 


우선 차트를 보게 되면 짙은 노랑색이 윈도우7 64비트 환경이며 빨강색이 윈도우10 64비트 환경에서의 테스트 결과값이다.   파이어스트라이크 울트라의 경우는 지포스 GTX 1060 6GB 모델이 지포스 GTX 1660 보다 약간이지만 빠른 성능을 내며 이는 운영체제와는 상관이 없어 보였다.  하지만 파이어스트라이트 익스트림 그리고 파이어 스트라이크 테스트로 갈수로록 지포스 GTX 1060 6GB 모델 보다 지포스 GTX 1660 이 빠른 성능을 보여주었으며 운영체제 상 비교로만도 봤을 때 윈도우10이 윈도우7 보다 약간 이지만 빠른 성능을 낸다.  하지만 그 차이가 그렇게 크지 않기 때문에 운영체제에 따른 성능 차이는 그렇게 크지 않다는 것을 이 다이렉트X 11 기반의 테스트 슈트인 파이어 스트라이크 테스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튜링은 다이렉트X 12 에서 보다 빠른 성능을 내


앞선 다른 지포스 GTX 1660 기사를 통해 다이렉트X 12 기반의 타임스파이 테스트의 지포스 GTX 1660 성능을 확인해봤다.  간단하게 다시 한번 그 차트를 보게 되면 아래와 같은데 결과부터 이야기 하자면 위에서 봤던 지포스 GTX 1660 의 성능은 앞서 봤던 차트에서 보였던 비슷한 성능과는 달리 지포스 GTX 1060 6GB 모델에 비해 빠른 성능을 낸다. 



▲ 동일한 하드웨어 환경에서 다이렉트X 12 기반의 테스트 슈트인 "타임 스파이"의 테스트 결과  


즉, 윈도우7 기반의 다이렉트X 11 기반 환경에서 전세대인 파스칼 아키텍쳐를 지닌 지포스 GTX 10 시리즈가 상대적으로 좋은 성능을 보이는 이유는 여러가지로 해석이 가능하겠지만  최근 출시된 튜링 아키텍쳐의 경우는 최근 대세 게이밍 API 인 다이렉트X 12 기반에서 최적의 성능을 내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엔비디아의 최적화 촛점은 아무래도 최근 게임 제작사들이 화려한 화질을 위해 다이렉트X 12 기반 그리고 언리얼 엔진 등으로 게임을 만들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만약 새로운 지포스 GTX 혹은 지포스 RTX 시리즈 구매를 결심했다면 당연히 다이렉트X 12 기반의 윈도우 10 환경에서 사용을 하는 것이 좋을 듯 하다.  굳이 새로운 그래픽카드를 구입하면서 구형 윈도우7 환경을 고수할 필요는 없을 듯 하다. 



▲ 윈도우7 64비트 환경에서는 튜링 코어에 있는 USB 3.1 Gen2 헤더를 인식하지 못한다.  하지만 그래픽카드의 성능을 100% 내는데는 문제가 없다.  


그 외에 튜링 기반의 지포스 그래픽카드를 윈도우7에서 사용하게 되면 또 다른 부분이 불편한 부분이 있는데 바로 그것은 드라이버에 관한 부분이다. 튜링 아키텍쳐 기반의 GPU 에는 USB 3.1 Gen2 포트 헤더를 하나 가지고 있는 탓에 윈도우7 에서는 해당 드라이버를 지원하지 않아 시스템 정보, 장치관리자 상에서 불필요한 "기타 장치 미인식" 로 분류가 되어 하드웨어를 인식하지 못한다.  이 부분은 그래픽 카드 제조사들이 원가 절감 차원에서 USB 타입C 포트를 제거해 버린 탓에 드라이버 인식을 하게 되어도 물리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부분인데, 이런 드라이버 인식 부분에 불편함이 있는 사용자들이라면 이를 피하는 것이 좋을 듯 하다. 


새로운 튜링 코어 기반의 그래픽카드는 윈도우10에 최적화 


3DMARK 하나만 가지고 이 두가지 운영체제 상에서 다이렉트X 11의 성능을 그리고 해당 API 기준으로 만들어진 게임 들을 성능을 100% 비교하기엔 무리감이 없지 않다.  약간의 오차 범위라고 볼 수 있을 정도로 다이렉트X 11 상에서 파스칼 아키텍쳐 그리고 튜링 아키텍쳐가 낼 수 있는 성능 차이는 운영체제의 변화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 듯 하다. 하지만 앞서 설명을 했듯이 새로운 다이렉트X 12 기반의 게임을 하고자 한다면 실행조차 시킬수 없는 윈도우7 환경은 자연스럽게 포기를 해야할 듯 하고 만약 윈도우10 및 다이렉트X 12 기반 게임을 많이 하는 게이머들이라면 당연히 튜링 아키텍쳐 기반의 새로운 지포스 시리즈가 만족스러운 성능을 낼 것이다.  단지 윈도우7 64비트 환경을 굳이 지포스 GTX 1660를 사용해야 한다면 제품의 전체적인 성능을 100% 낼 수 없다는 점은 게이머들이 인식 해야할 듯 하며, 앞서 설명을 했듯이 엔비디아의 튜링 아키텍쳐의 그래픽카드가 최적은 성능을 내는 환경은 윈도우10 및 다이렉트X 12 기반의 게이밍 환경에서 가장 높은 가성비를 낸다. 


 

추천 0 비추천 0

SNS공유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메인 배너



댓글(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