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리뷰카테고리

아이피타임 기가비트 공유기의 무한 기능 확장, 엔트웨어란 무엇인가?

단순하게 가정에서 유, 무선 인터넷 공유기만을 단순하게 사용하는 분들이 있는 반면, 공유기 제조사가 제공하고 있는 단순한 앱 외에 다양한 기능 등을 더할 수 있는 "엔트웨어 (Entware)" 가 최근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오늘 브레인박스에서는 간단하게 이 엔트웨어에 대한 설명과 아이피타임의 대표적인 기가비트 인터넷 유무선 공유기인 "A9004M"를 통해 해당 기능을 확인해 보도록 하겠다.  그 전에 우선 엔트웨어란 무엇일까?  


엔트웨어(Entware)란? 


엔트웨어는 컴퓨터와 달리 낮은 성능의 CPU 혹은 AP 그리고 낸드 플래시 혹은 메모리가 부착되어 있는 작은 크기의 임베디드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 관리자 정도를 이야기 하는데 예를 들어 컴퓨터 상에서 누구나 사용하는 윈도우 정도 라고 이해하면 될 듯 하다.  물론 마이크로소프트에서는 작은 크기의 시스템 운영체제를 위해 윈도우 임베디드 등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엔트웨어 보다 전체적인 리소스 및 크기가 크기 때문에 컴퓨터 주변기기로 보자면 유무선 공유기 혹은 나스 등에 사용되기 힘들다.  일종에 작은 가정 장비를 위한 운영체제 혹은 소프트웨어 정도 라고 보면 된다. 



 

왜 엔트웨어를 써야하는가? 


그 이유는 저렴한 가격으로 다양한 소프트웨어 설치를 통해 기존의 하드웨어 제조사들이 제공하는 기능 이외의 다양한 추가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서 이다.  그래서 제조사들이 제공하고 있는 기능 외에 다양한 추가 기능 등을 맛보려면 이 엔트웨어를 활용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최근 크게 인기를 끌고 있는 ‘TV 스트리밍 서버’로 공유기를 활용해 보고 싶다라면 엔트웨어를 통해 TVheadend 소프트웨어를 설치 실행할 수 있다. 이 소프트웨어 외에 엔트웨어로 설치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는 http://bin.entware.net/armv7sf-k3.2/Packages.html 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기가비트 지원 ipTIME A9004M





 

■ 아이피타임에 엔트웨어 설치 및 활성화 


우선 가장 먼저 엔트웨어를 아이피타임 공유기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마치 도스의 명령어 창과 동일한 Entware 지원의 ‘Telnet 서비스’를 필요로 한다.  그 외에 아이피타임에서는 A9004M, A8004NS-M, A8NS-M, A7NS, A6004NS, A5004NS 와 같은 기가 와이파이 공유기의 펌웨어를 최신으로 업데이트하게 되면 해당 엔트웨어 지원 메뉴를 확인해 볼 수 있는데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공유기의  ‘관리도구(192.168.0.1) > 고급설정 > USB/서비스 관리 > 서비스 설정’에서 ‘Entware 지원’ 메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최신 펌웨어를 설치하게 되면 USB/서비스 관리 > 서비스 설정 에서 Entware 지원 데몬을 실행시킬 수 있다.  


엔트웨어의 설치


엔트웨어는 공유기의 설정 정보 및 시스템을 제어하는 플래시 메모리에 직접 설치가 불가능하다.  그래서 A9004M 의 공유기의 나스 기능 등을 사용하기 위한 제품 후면의 USB 3.0 포트를 이용하여 이를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외장 스토리지 혹은 USB 메모리 등을 꼽아서 이를  ‘ext4 파티션으로 생성’ 하고 공유기의 USB 포트에 연결해야 한다.  자신이 사용하는 엔트웨어의 종류 및 목적에 따라 스토리지의 종류를 선택하면 되는데 최근 저렴하고 고용량인 USB 메모리를 선택하거나 큰 동영상 등을 스트리밍 하기 위해서는 낸드 플래시가 전체적으로 사용된 씨게이트의 패스트 SSD 외장 디스크를 사용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그 외에  그리고 난 후에 아이피타임 공유기의 ‘Entware 지원’ 메뉴에서 설치 폴더를 만들고 적용 버튼을 클릭을 하게 되면 가장 기본적인 공유기 쪽에서의 펌웨어 설정은 완료가 된 것이다.



 


▲ Putty (https://www.chiark.greenend.org.uk/~sgtatham/putty/latest.html)를 실행하고, Host Name에 192.168.0.1, 접속 형식은 Telnet을 선택하고 열기를 누른다.

그 후에 텔넷을 통한 터미널 창이 나온 후 Login as에 공유기의 ‘로그인 이름’, 192.168.0.1’s password 에는 ‘로그인 암호’를 입력하는데 아래와 같이 # 프롬프트(prompt)가 나왔다면 엔트웨어를 이용할 준비가 완벽하게 된 셈이다.



▲ 터미널 창을 통해 접속하여 위와 같은 메세지를 보게 된다면 설정이 완벽하게 완료된 것이다. 


이제는 실전으로 TV 스티리밍 서버를 엔트웨어를 통해 설치해 보도록 하자.  


1) 패키지 설치

opkg install busybox

opkg install vim

opkg install tvheadend


2) 설치파일 수정

vim /opt/etc/init.d/S71tvheadend  혹은 

1) WinSCP (FTP)로 접속

2)/HDD1/Entware설치위치/ opt/etc/init.d/로 이동

3)S71tvheadend 파일 열기

로 S71tvheadend 파일을 Open 합니다.


ARGS로 시작하는 라인에서 노란색 항목을 수정하고 저장한다.

ARGS="-C -f -u root -g root -c /opt/etc/tvheadend -B" 


가능하면 명령어를 텔넷 창에 입력하기 힘들 수 있으므로 위 명령어를 복사하여 붙여넣기를 통해 명령어를 실행시키길 바란다.


3) 소프트웨어 실행

(녹색의) done. 라는  결과가 나오면 TV 스트리머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실행된 것이다.



 /opt/etc/init.d/S71tvheadend start

 

4) 웹페이지 접속

> http://192.168.0.1:9981/ 접속하여 네트워크, 먹스 등의 서비스에 필요한 상세한 환경 설정을 해야할 차례이다. 



 

이렇게 정상적으로 서비스가 구동되면 완료되면, 안드로이드의 플레이 스토어에서 모바일 TVHClient 앱을 설치 한 후, 해당 공유기에 와이파이를 연결하게 되면 Status 가 Ready 로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해당 TV 컨텐츠를 자신의 스마트폰에서 시청할 수 있게 된다. 




기가비트 인터넷 공유기의 또 다른 기능 확장, 엔트웨어


엔트웨어는 우리가 흔히 편하게 접하는 운영체제 인 윈도우와 같이 편리한 인터페이스 그리고 설정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  아무래도 이런 화려한 인터페이스 및 UI 등으로 구현을 하게 되면 아무래도 차지하는 리소스 자체가 커지기 때문에 엔트웨어가 설치될 작은 공간에 넣지 못해서 이다. 그래서 이와 같이 리눅스의 명령어 창 혹은 예전 도스의 명령어 창 같은 텔넷 서비스를 통해 해당 데몬 혹은 서비스를 올리게 되는데 이 부분이 조금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기존의 공유기, 나스 에서의 활용도를 보다 배가 시킬 수 있는 재미있는 엔트웨어가 많기 때문에 이런 부분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 꼭 한번 엔트웨어를 경험해 보시길 바란다.  그리고 아직 아이피타임 외에 다른 공유기에서는 펌웨어를 통한 엔트웨어 설정 부분이 없기 때문에 추가적인 커스텀 펌웨어를 올려야 한다는 점을 유의하기 바란다. 


추천 0 비추천 0

SNS공유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메인 배너



댓글(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