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리뷰카테고리

에이수스가 추천하는 2세대 라이젠 프로세서용 마더보드, ASUS 프라임 B450M-A 마더보드

AMD의 2세대 라이젠 프로세서는 1세대 라이젠 프로세서에 비해 메모리 레이턴시 조절과 보다 높은 클럭에서 버틸 수 있도록 개선 작업을 통해 지금까지 문제가 되었던 "게임"에서의 성능을 8세대 인텔 코어 프로세서와의 격차를 어느 정도 따라 잡았다.   게다가 현재 소강 국면을 보이고 있는 8세대 인텔 코어 프로세서의 수급 문제가 해결이 되어 정상적으로 가격이 형성되고 있지만 여전히 6코어 기반의 라이젠5 2600와 8코어 기반의 라이젠7 2700는 19만원 대, 30만원 대에 인텔 8세대 코어 프로세서 대비 코어당 가격은 저렴하다. 


그래서 그런지 보다 많은 멀티 코어 프로세서를 필요로 하는 분들에게 라이젠 프로세서는 상당히 좋은 선택이 되고 있다.  이 2세대 라이젠 프로세서가 출시 되면서 바뻐지고 있는 것은 바로 이 새로운 프로세서를 사용할 수 있느 400 시리즈 칩셋이다.  물론 높은 하위 호환성을 자랑하는 라이젠 프로세서들이지만 "새 술은 새 부대에 부어야 제 맛" 이라는 속담처럼 2세대 라이젠 프로세서의 경우 이번에 새롭게 출시된 B450 칩셋 기반 마더보드를 1순위 구매 제품으로 많은 분들이 생각하는 듯 하다. 


그래서 오늘은 에이수스에서 출시한, 에이수스 마더보드 라인업에서 중심을 차지하고 있는 프라임 시리즈에서 출시한 에이수스 프라임  B450M-A 마더보드를 살펴보려고 한다.  과연 이 마더보드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천천히 살펴보도록 하자.

 

■ 에이수스, 프라임 B450M-A 에스티컴





프라임 B450M-A 마더보드는 마이크로 ATX  규격과 4개의 DDR4  메모리 뱅크를 갖고 있는 많은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선호하는 규격 및 스펙으로 구성되었다.  프로세서의 소켓 타입인 AM4 이며 지금까지 출시가 되었던 1세대, 2세대 라이젠 프로세서를 비롯하여 베가 그래픽코어를 내장한 라이젠 프로세서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하드디스크 혹은 2.5 인치 기반 SSD등 SATA3 저장장치와의 연결은 최대 6개까지 가능하며 사진상으로 봤을 때 좌측의 4개의 SATA3 포트를 통해 레이드 0, 1, 10 를 지원한다.  그리고 우측의 2개의  SATA3 포트를 프로세서와 직접적으로 연결이 되어 있는 PCIe 레인으로 이루어졌는데 만약 NVMe 기반의 M.2 스토리지를 연결하게 되면 해당 포트는 사용할 수 없다. 



총 4개의 메모리 슬롯을 통해 듀얼 채널 구성으로 최대 64GB 까지 메모리를 확장할 수 있는데 최대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 클럭은 DDR4-3200 이다.  하지만 이 마더보드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프로세서가 오버클럭킹 등을 지원하는 "X" 넘버링을 가진 제품이 아니라면 표준 클럭이라고 할 수 있는 DDR4-2666 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프로세서의 소켓 규격은 앞서도 설명을 했듯이 AM4 규격이며 전원부의 구성은 6페이즈 디지털 전원부이다.  각기 전원부들의 페이즈들은 온보드 되어 있는 에이수스의 DIGI+ VRM 를 통해 디지털로 제어가 되어 최고의 효율을 낼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마더보드와 연결되는 전원 공급기는 24핀 표준 커텍터와 12V 8핀 커넥터로 연결이 되는데 이제는 표준적인 형태라고 볼 수 있을 정도로 인텔, AMD 모든 최신 마더보드들은 이와 같은 규격을 따르고 있다.  



프라임 B450M-A 마더보드의 우측 끝 쪽에는 에이수스에서 지원하는 RGB LED 제어 기술인 에이수스 아우라싱크를 위한 표준 4핀 커넥터가 위치해 있다.  이 커넥터를 통해 RGB LED 가 적용된 다양한 주변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데 최근 AMD에서 이벤트를 통해 제공하고 있는 레이드맥스 쿨러를 연결하면 쉽게 해당 앱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간단한 효과 등을 마더보드의 바이오스 항목에서 어느 정도 제어도 가능하다.



이 마더보드에 확장을 위한 슬롯은 총 3개로 2개의 PCIe 1배속 슬롯을 비롯하여 그래픽카드 장착을 위한 16배속 PCIe 슬롯 하나를 지원한다.  




이 마더보드에 온보드된 사운드 코텍과 랜 컨트롤러는 모두다 리얼텍 제품들이 사용되었다.  사운드 코텍은 ALC-887 8채널 지원 코텍이며 랜 컨트롤러의 경우는 최대 기가비트 까지 지원하는 RTL8111H 칩셋이 사용되었다.  이 두가지 칩셋 모두 윈도우10 에서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칩셋이며 많은 중가 마더보드에서 사용이 되는 만큼 호환성, 성능 부분에서 나무랄 때가 없다. 



이 외에 랜 케이블을 통해 혹시나 시스템을 유입될 수 있는 정전기 혹은 강한 전류들을 차단하기 위한 에이수스의 "랜가드"가 적용되어 있어 기본적인 마더보드의 보호 장치는 갖추고 있었다. 



마더보드 후면의  IO 쉴드는 조금 단촐한 편인데 모니터 출력을 위한 포트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우선 키보드 마우스를 위한 2개의 PS2 포트를 비롯하여 베가 그래픽코어의 비디오 출력을 위한 DVI, D-SUB, HDMI 포트가 자리를 잡고 있으며 총 4개의 USB 3.1 Gen1  포트 그리고 2개의 USB 3.1 Gen2 포트가 자리를 잡고 있었다. 


에이수스 프라임 B450M-A 바이오스 보기


이 마더보드에 적용되어 있는 UEFI  바이오스는 기존의 다른 에이수스 마더보드와 100% 동일한 메뉴 구성을 갖고 있다.  인텔 칩셋 기반의 마더보드와도 몇가지 항목에 차이는 있지만 전체적인 디자인 그리고 메뉴 구성 등을 완벽하게 동일했다. 




에이수스 마더보드들의 바이오스는 마우스를 통해 옵션을 조정하기 편리한 "이지모드" 와 예전 마더보드들의 바이오스 처럼 텍스 메뉴 형태로 된 "어드밴스드 모드" 를 지원한다.  이 마더보드도 역시 기존의 큰 틀에서 달라진 것은 없었다. 




그리고 이 마더보드에서는  XMP 를 지원하는데 이것은 인텔의 H 시리즈 혹은 B 시리즈 칩셋이 DDR4-2666 메모리 만을 기본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것과는 다르다.  마더보드 바이오스를 통해 XMP 프로파일 등을 선택할 수 있으며 별도의 메뉴를 통해 메모리의 SPD 값을 확인할 수도 있다. 



그 외에 마더보드에 온보드된 사운드 코텍 부분에 장착되어 있는 LED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바이오스 메뉴를 갖고 있었는데 이 메뉴를 통해 2가지 효과를 선택과 LED 조명을 꺼버릴 수 있다. 


적당한 가격대로 높은 가성비를 지니고 있는 에이수스 프라임 라인업


에이수스의 프라임 라인업은 특별히 지원하지 않는 것도 그리고 특별히 지원하는 것도 없는 모두의 눈높이에 맞추어져 있는 마더보드 라인업이다.  실제 전원부에 알루미늄 방열판을 장착하지도 않았을 정도로 과도한 시스템 사용이 없다라는 것을 가장하여 그리고 데코레이션을 위한 많은 액세서리 등을 제거하여 높은 가성비를 맞추기 위해 만들어진 에이수스 마더보드 라인업이다. 



오늘 기사를 통해 소개한 에이수스의 프라임 B450M-A 마더보드도 그에 맞추어서 보면 뛰어난 옵션이 있지도 그리고 다른 경쟁사들의 제품에 비해 떨어지지도 않은 적당한 옵션과 스펙을 가진 제품이었다.   그리고 보이게 따라 높은 하위호환성으로 보일 수 있는 2개의 PS2 포트 지원 부분은 최근 다양한 주변기기들이 기본적으로 마더보드의 USB 포트에 연결이 되고 그 포트에서 전원을 입력받는 제품들이 많아지고 있는 탓에 PS2 포트는 이제는 삭제해 버리고 이 자리에 보다 많은 USB 포트를 위치해 두는 것이 조금 더 좋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았다.   현재 이 마더보드는 오픈 마켓 등을 통해 12만원 내외에 판매가 되고 있으며 기존의 에이수스 마더보드와 동일한 3년의 품질보증 기간을 갖는다. 



 

추천 0 비추천 0

SNS공유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메인 배너



댓글(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