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인털에서 첫 선을 보인 H370 칩셋의 몇 가지 특이한 점이 있다라면 총 3가지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데 그것은 통합된 인텔 Wireless-AC 기술, SDXC (SDA 3.0), Maximum 인텔 RST for PCIe Storage Ports (x2 M.2 or x4 M.2) 일 것이다. 이 중에서 필자가 눈여겨 본 것은 마지막에 있는 M.2 NVMe SSD 를 레이드로 묶어 극강의 스토리지 성능을 낼 수 있는 기능이다. 그래서 이번 브레인박스 기사에서는 단일 NVMe SSD 와 두 개의 NVMe SSD를 레이드0 묶었을 때 얼만큼의 성능을 내는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준비하였다. 과연 인텔의 신형 H370 칩셋에서 어떤 가공할만한 스토리지 성능을 보여줄지 천천히 살펴보도록 하자. 그 전에 우선 브레인박스로 입고된 첫번째 H370 칩셋 기반 마더보드인 기가바이트 어로스 H370 게이밍3 와이파이 모델을 살펴보고 가도록 하자.
■ 기가바이트, 어로스 H370 Gaming3 WIFI - 제이씨현
기가바이트의 어로스 게이밍 마더보드 시리즈는 하위 네이밍인 "GAMING (게이밍)" 으로 등급이 나누어 진다. 그 중에서 게이밍3 제품은 게이밍 마더보드 시리즈 중에서 중심에 해당되는 제품은 다양한 옵션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가성비를 가지고 있는 제품이다.
마이크로 ATX 규격의 마더보드 보다 일반 ATX 규격의 마더보드들은 크기가 가지고 있는 장점으로 인해 높은 확장성과 넉넉한 전원부 설계 그리고 화려한 RGB LED 적용하는 등 마더보드 디자이너들의 상상이 그대로 발연될 수 있는 형태이다. 앞서 설명했듯이 게이밍 시리즈 마더보드는 상당히 많은 액세서리 등을 제공한다.
이 마더보드의 백미는 바로 인텔의 무선 와이파이 카드인 9560NGW 가 동봉이 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 랜카드는 인텔에서 출시한 무선 와이파이 카드 중에서 상당히 높은 스펙을 지원한다. 우선 간단하게 이 와이파이 랜카드에 대해서 설명을 하자면 기본적으로 M.2 인터페이스로 연결이 되며 2.4GHz / 5.0GHz 듀얼 밴드는 기본으로 지원하며 MU-MIMO 를 지원해 놀라운 다운로딩 속도를 자랑한다. 그 외에 블루투스 5.0 까지 지원하여 이를 지원하는 헤드셋을 연결한다면 저전력의 고음질을 느낄 수 있다. 물론 하위 버전인 블루투스 4.X 도 당연히 지원한다. 한가지 더 놀라운 것은 동일한 넘버링을 가지고 있지만 상위 제품의 경우는 인텔 LTE 모뎀과 연결을 해서 SKT, KT 등의 통신망에 연결하여 무선 인터넷 환경을 즐길 수도 있다.
인텔의 이 와이파이 랜카드는 인텔 300 시리즈 칩셋에서 지원하는 인텔 Wireless-AC 기술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다. 이 랜카드는 듀얼 채널 안테나를 제외하고 이베이 등에서 약 25~30 달러 정도로 판매를 하고 있다.
이 마더보드는 10 페이즈의 디지털 전원부로 인텔의 8세대 모든 프로세서를 안정성 있게 작동을 시킨다. 사용된 초크 및 캐패시터 그리고 기가바이트에서 상급 마더보드에서 사용했던 제품과 동일했다.
최근에 출시된 대부분의 게이밍 마더보드 들은 한 군데 이상에 RGB LED를 적용하여 케이스 내부를 직, 간접적으로 빛을 내 고급스럽고 화려함을 준다. 이 마더보드의 램 슬롯 사이에는 양쪽에 RGB LED가 면발광 형식으로 구현이 되어 있다.
그 외에 마더보드의 두 곳에 기가바이트 어로스가 자랑하고 있는 디지털 RGB LED 헤더가 위치해 있어 시스템 케이스에 추가적인 RGB 스트랩을 연결하여 보다 멋진 게이밍 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 디지털 RGB LED 헤더는 5핀이지만 아날로그 4핀 RGB LED 스트랩도 연결이 가능하다.
마더보드의 전원 입력은 전원공급기로 부터 표준 24핀과 8핀 12V 커텍터를 통해 공급된다.
인텔의 신형 H370 칩셋은 6개의 SATA3 포트를 지원하는데 하위 H310 칩셋과는 달리 인텔 RST SATA 레이드 0, 1, 5, 10 를 지원하다. 만약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연결하여 큰 용량과 빠른 속도를 느끼고자 한다라면 이 기능을 활용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이 마더보드는 최근 유행했던 비트 코인 채굴용 마더보드로도 활용이 가능하게금 PCIe 1배속 슬롯 4개와 PCIe 16배속 슬롯 2개 이렇게 총 6개의 슬롯을 가지고 있다. 만약 비트코인 혹은 이더리움을 채굴하기 위해서 이 마더보드로 최대 6개의 그래픽카드를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게이머들에게 고가의 그래픽카드 설치 시 안정감을 주기 위해 PCIe 16배속 슬롯은 "스틸 아머 슬롯"를 사용하고 있다.
이 마더보드에서는 총 2개의 M.2 슬롯을 가지고 있는데 그 중에서 방열판을 기본 지원하고 있는 M.2 슬롯은 최대 22110 길이의 M.2 스토리지를 장착할 수 있으며 방열판이 없는 M.2 슬롯은 2280 규격까지 지원한다.
그리고 그 옆에는 포함되어 있는 인텔 무선 와이파이 카드인 9560NGW 장착할 수 있는 2230 규격의 M.2 슬롯이 자리를 잡고 있다.
그 외에 이 마더보드에서 사운드 부분에서 상당히 특화기 되어 있으며 이에 맞는 사운드 코덱인 리얼텍의 ALC1220과 스마트 헤드폰 앰프 그리고 WIMA 캐패시터와 니치콘의 오디오용 캐패시터인 파인골드 캐패시터가 사용되었다. 그리고 랜 컨트롤러는 비교적 하이엔드 마더보드에서 많이 사용되는 I219 기가비트 컨트롤러가 장착되어있다.
그 외에 마더보드의 DNA 중에 하나인 듀얼 바이오스도 적용되어 있으며 컴퓨터 케이스 전면에 연결을 시킬 수 있는 별도의 USB 3.1 Gen1 포트도 마련되어 있다.
후면의 IO 쉴드는 비교적 풍부한 확장성을 가지고 있다. 일단 4개의 USB 2.0 포트를 비롯하여 2개의 USB 3.1 Gen1 포트 그리고 USB 3.1 Gen2 포트의 경우는 타입A, 타입C 이렇게 2가지 포트를 를 가지고 있다.
■ 바이오스를 통한 빠른 인텔 RST 설정
이번 새로운 300 시리즈 칩셋으로 넘어왔지만 기존의 기가바이트 바이오스와 동일한 메뉴 및 구성을 가지고 있다.
기존의 기가바이트 마더보드에서 볼 수 있는 2가지 바이오스 형태인 이지모드와 클래식모드를 기본으로 각종 마더보드의 기능 들의 설정 등을 할 수 있다.
바이오스의 메인 메뉴 중에서 "Peripherals" 로 가서 NVMe Configuraion 메뉴로 가게 되면 마더보드에 장착되어 있는 2개의 M.2 스토리지 상태를 볼 수 있다. 필자는 테스트를 위해서 커세어 MP500 과 WD 블랙 NVMe SSD 이렇게 2개를 장착하였다.
SATA 모드 선택에서느 인텔 RST 프리미엄 인텔 옵테인 시스템 이 항목으로 바꾸게 되면 하단에 PCIe Storage Dev On Port9, Port21 를 RST Controlled 로 바꾼 후 다시 부팅을 하여 바이오스 메뉴로 들어가게 되면 선택된 스토리지의 레이드 설정 등을 할 수 있는 메뉴가 나타난다.
위 이미지와 같이 인텔 Rapid Storage Technology 메뉴로 들어가게 되면 예전 도스 바탕의 무미건조한 메뉴에서 EFI 바이오스로 달라진 레이드 설정 화면으로 들어갈 수 있다.
앞선 옵션을 통해 레이드로 구성한 2개의 NVMe SSD 항목을 볼 수 있으며 이를 레이드의 종류 및 볼륨으로 묶어주는 작업을 해주어야 한다.
현재의 2개의 SSD로 구성할 수 있는 레이드는 레이드 0 스트라이프와 레이드 1 밀러링이다. 이 중에서 테스트를 위해서 레이드 0 스트라이프로 설정을 했다.
이렇게 레이드 0 로 된 디스크 어레이 (볼륨)을 설정하게 되면 운영체제인 윈도우 10를 설치할 사전 준비는 완료가 된 셈이다. 이제 본격적으로 윈도우 10 프로 64비트를 인스톨 해보도록 하자.
■ 그리고 윈도우10 설치 및 소프트웨어 환경
우선 이 새로운 칩셋에 대한 드라이버가 윈도우 10 에서는 기본 드라이버를 가지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윈도우10 설치 파일이 들어 있는 USB 메모리 안에 마더보드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드라이버 DVD 중에서 IRST 폴더를 찾아 X64 드라이버 폴더를 복사하여 USB 메모리로 우선 옮겨야 한다. 그리고 윈도우10 USB 메모리로 부팅 한 후 스토리지 드라이버 선택을 앞서 복사 했던 폴더로 바뀌어 주면 드라이버를 자동적으로 설치 하고 바로 윈도우 10 를 설치할 수 있다.
운영체제를 설치 한 후 인텔의 RST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게 되면 현재 마더보드에서 설정되어 있는 스토리지의 레이드 상태 등을 비롯하여 옵션 등의 수정을 통해 스토리지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그 중에서 관리 부분에 캐시 모드는 "읽기 전용, 즉시 쓰기, 사용안함" 옵션 등 총 3가지를 선택할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 시스템의 성능을 읽기에 보다 민감함으로 "읽기 전용" 으로 선택하여 테스트가 이루어졌다.
■ 단일 NVMe VS 레이드 0 NVMe 의 성능은?
HD Tune Pro 5.70
첫번째 테스트로 HD Tune 의 읽기 테스트를 통해 레이드 일 때 그리고 단일 드라이브 일 때 성능을 확인해 봤다. 이 테스트 결과만을 가지고 봤을 때 최대 읽기 속도와 최대 쓰기 속도가 무려 5배 정도라는 어마 어마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단지 떨어지는 성능을 보이는 부분은 프로세서 점유률 부분이었는데 레이드 0 일때 10% 그리고 단일 NVMe 드라이브를 사용할 때가 1.2% 로 8배 가까운 높은 프로세서 점유률을 보여주었다.
CrystalDiskMark 6.0 x64
이번 테스트에서는 앞서 봤던 테스트 결과보다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지만 전체적으로 1.2~1.5배 정도 레이드 0 일 때 읽기와 성능이 모두 향상되었다.
AS SSD Benchmark 2.0
ATTO Disk Benchmark
나머지 2개의 테스트를 보면 전체적으로는 레이드 0 일 때가 빠른 성능을 보여주고 있지만 AS SSD 벤치마크에서는 일부 쓰기 성능이 단일 NVMe 드라이브 일 때가 오히려 빠르게 나왔다. 그 외에 모든 부분에서 레이드 0 일 때가 당연하게도 빠른 성능을 보여주었는데 특히나 ATTO 디스크 벤치마크에서는 단일 드라이브 대비 읽기 속도는 약 1000MB/s 정도 그리고 쓰기 속도는 약 700MB/s 정도 빠른 성능을 보여주었다.
■ 화려한 게이밍과 고성능 스토리지 설정이 가능한 H370 마더보드
2.5 인치 크기를 가지고 있는 SSD 대중화가 된지 얼마 되지 않아서 인지 최신 스토리지 규격인 M.2 NVMe SSD를 사용하여 게이밍 시스템을 구성하는 분들이 아직까지는 그렇게 많지 않은 듯 하다. 제품이 가격도 동일한 용량을 지닌 2.5 인치 제품보다 약간 비싼 가격으로 판매가 되고 있는데다가 실제, 이런 빠른 스토리지가 있다라는 것을 아는 분들이 많지 않은 이유도 있는 듯 하다.
오늘 소개한 기가바이트 어로스 H370 게이밍3 WIFI 마더보드는 하나의 M.2 스토리지를 사용하는 것 보다 2개의 M.2 스토리지를 레이드로 구성하여 기존의 SSD 보다는 크게 5 배 그리고 단일 NVMe 보다 1.5배에서 2배 정도 빠른 성능을 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빠른 속도의 게이밍 시스템을 가지려 하는 것은 오롯이 게이머들에게는 필수 덕목이라는 점을 감안하며 한번 즈음 스토리지에 투자하여 그것도 레이드로 구성을 하게 된다면 미친 게이밍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라는 것을 간접적으로 나마 알수 있었을 것이다.
이 마더보드의 H370 칩셋이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화려한 RGB LED 튜닝과 더불어 코어 i7 8700K 프로세서의 막강한 게이밍 성능 그리고 그에 날개를 달아줄 수 있는 가공할 만한 스토리지 성능은 조금 이라도 빠른 성능과 화려함에 목말라있는 게이머들이라면 한번 즈음 구축해볼 수 있는 꿈의 게이밍 시스템이 아닐까 싶다. 보다 빠른 속도를 갈망하는 게이머들의 중심에 오늘 소개한 신형 H370 칩셋 기반의 마더보드인 기가바이트 어로스 H370 게이밍3 와이파이 설 수 있기를 기대하면서 이번 기사를 마칠까 한다.
최신리뷰
-
리뷰카테고리
-
리뷰카테고리
-
리뷰카테고리
-
리뷰카테고리
댓글(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