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리뷰카테고리

AMD 라이젠의 든든한 친구, 기가바이트 X870 EAGLE WIFI7 - 제이씨현

가장 성공적인 라이젠 프로세서 라고 평가를 받고 있는 라이젠 7000 시리즈 그리고 X3D 시리즈는 아직까지도 꾸준하게 사랑을 받고 있는데 특히나 엔트리급 프로세서인 라이젠5 75000F 와 더불어서 최고의 게이밍 프로세서인 라이젠7 7800X3D 는 꾸준하게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나 라이젠7 7800 X3D 프로세서는 국내외 적으로 품귀 현상을 겪고 있는데 현재의 시점에서 보게 된다면 환률이라는 혹은 재고에 의한 변동성이 아닌 조만간 11월에 출시로 예정되어 있는 라이젠7 9800X3D 프로세서로 인한 수급 조절로 보인다.  10월 말에 경쟁사의 프로세서가 출시 예정 되어 있기 때문에 아마도 이런 루머가 더욱더 신빙성이 있어 보인다.  


오늘은 브레인박스에서 소개하는 두번째 AMD 800 시리즈 칩셋 메인보드로 기가바이트 X870 Eagle WIFI7 - 제이씨현 이다.  과연 이 메인보드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천천히 살펴보도록 하자.


■ 기가바이트 X870 EAGLE WIFI7 - 제이씨현 



▲ 간략 스펙 : AMD(소켓AM5) / AMD X870 / ATX (30.5x24.4cm) / 전원부: 14+2+2페이즈 / 페이즈당60A / Vcore출력합계: 840A / 메모리 DDR5 / 8000MHz (PC5-64000) / 4개 / 메모리 용량: 최대 256GB / XMP3.0 / EXPO / 확장슬롯 VGA 연결: PCIe5.0 x16 / PCIe버전: PCIe5.0, PCIe3.0 / PCIex16: 1개 / PCIex16(at x1): 2개 / 저장장치 M.2: 3개 / SATA3: 4개 / M.2 연결: PCIe5.0, PCIe4.0, NVMe , M.2간 레인공유 / 후면단자 HDMI / Type-C / USB4 40Gbps / USB3.x 10Gbps / USB3.x 5Gbps / USB 2.0 / RJ-45 / 오디오잭 / BIOS 플래시백 / USB A타입: 8개 / USB C타입: 2개 / 랜/오디오 유선랜 칩셋: Realtek / 2.5Gbps / RJ-45: 1개 / MediaTek MT7925(at v1.0) / 무선랜(Wi-Fi) / 블루투스 / 오디오 칩셋: Realtek / 7.1채널(8ch) / 내부I/O USB/팬 헤더: USB3.0 헤더 , USB2.0 헤더 , USB3.2 Type C 헤더, ARGB 5V 3핀 헤더 , CPU추가팬(OPT) 헤더 / 시스템팬 4핀: 4개 / I/O 헤더: TPM 헤더, 프론트오디오AAFP 헤더 / 특징 DrMOS / 전원부 방열판 / M.2 히트싱크 / 일체형IO실드 / LED라이트 / UEFI



▲ AMD 800 시리즈 칩셋 스펙 매트릭스 


X870E 칩셋과 X870 칩셋의 주요한 차이점은 "칩셋이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PCIe 레인 숫자가 다르다" 정도로 요약을 할 수 있을 듯 하다.  하지만 Gen5 를 지원하는 두가지 부분 프로세서와 그래픽카드 연결 PCIe 버전은 Gen5 를 지원하므로 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스펙 차이는 거진 없다고 보면 좋을 듯 하다.  그래서 X870E과 X870 칩셋 메인보드 차이점은 결과적으로 보다 많은 숫자의 NVMe SSD 장착할 수 있다 정도로 나눌 수 있을 듯 하다.  그래서 사실상 정말 최상위 등급의 게이머 혹은 스토리지를 많이 사용해야 하는 유저들에겐 이 두가지 칩셋 차이는 크게 의미가 없어 보인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하나의 엔비디아 그래픽카드와 2개 정도의 Gen5 지원 등의 NVMe SSD 를 사용하는 분들이라면 X870E 칩셋 메인보드 까지 갈 이유는 사실 없다.   게다가 NVMe Gen5 x4 를 지원하는 SSD 는 아직까지 NVMe Gen4 x4 SSD에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기 때문에 더욱 그래 보인다. 




▲ 기가바이트 X870 Eagle WIFI7 메인보드에는 총 4개의 DDR5 메모리 슬롯을 가지고 있는데 듀얼 채널 구성시 최대 256GB 까지 확장이 가능하며 XMP 3.0, EXPO 를 지원하는 게이밍 메모리는 최대 DDR5-8000 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전세대 7000 시리즈 및 AMD 600 시리즈 칩셋 메인보드 대비 상당 부분 높은 클럭의 메모리를 지원한다.




▲ 이 메인보드는 파워와 표준 24핀 커넥터 하나와 4+8핀 12V 커넥터 이렇게 연결이 되는데 보다 높은 가격대의 메인보드가 12V 8 + 8 핀 구성인 것을 감안하면 그 메인보드에 비해 낮은 페이즈 구성을 하고 있다고 간접적으로 알 수 있는 부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메인보드는 전원부는 DR.MOS 펫 기반의 14+2+2페이즈 구성을 취하고 있으며  페이즈당60A,  14 X 60A = Vcore 출력 최대 840A 까지 낸다.



▲ 이 메인보드에는 총 4개의 SATA3 포트를 갖고 있는데 온보드 되어 있는 M.2 슬롯이 3개인데 그 중에 하나는 칩셋의 PCIe 레인을 공유하게 되므로 아마도 추가적으로 공유하게 되는 SATA3 포트 2개는 삭제한 듯 하다.  개인적으로는 SSD 스토리지 자체가 M.2 2280 SSD 로 대부분 통합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4개의 SATA3 포트 숫자는 무리가 없는 숫자로 보인다.




▲ 기가바이트 메인보드들 중에서 높은 등급을 가진 제품 답게 하드웨어 리셋, 파워 스위치를 온보드 하고 있으며 인디케이터 LED 등을 지원한다.  그리고 총 4개의 RGB LED 주변기기들을 연결할 수 있는데 이 중 3개가 ARGB 5V 4핀 커넥터를 가지고 있다. 





▲ 메인보드에는 총 3개의 M.2 가지고 있는데 방열판이 적용된 M.2 2280 슬롯의 경우는 프로세서와 직접 연결이 되며 나머지 두 개는 X870 칩셋에 연결되는 구조이다.  칩셋의 연결되는 2개의 M.2 2280 슬롯의 경우 X870 칩셋의 적은 숫자의 PCIe 레인으로 인해 다른 속도를 가지고 있다.  만약 하나의 M.2 2280 SSD를 장착하게 된다면 당연히 방열판이 적용되어 있는 슬롯에 장착하면 된다.



▲ 프로세서의 PCIe Gen5 x4 레인에 연결되어 있는 마이크론 T705 Gen5 x4 2TB의 연속 읽기 및 쓰기 성능 (방열판이 적용되어 있는 M2A 슬롯)  


 

▲ X870 칩셋의 PCIe Gen4 x4 레인에 연결되어 있는 마이크론 T705 Gen5 x4 2TB의 연속 읽기 및 쓰기 성능 (두번재, M2B 슬롯)  


 

▲ X870 칩셋의 PCIe Gen4 x4 레인에 연결되어 있는 마이크론 T705 Gen5 x4 2TB의 연속 읽기 및 쓰기 성능 (세번재, M2C 슬롯)  





▲ 그래픽카드를 장착하는 PCIe Gen 5.0 16배속 슬롯은 기가바이트의 울트라 듀러블 5.0 슬롯이 적용되어 단단한 내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래픽카드의 분리는 이지렛지 방식을 적용해 한번의 누름으로 쉽게 그래픽카드 분리가 가능하다.  이 부분은 전 세대 메인보드들 대비 개선된 부분이다.




▲ 이 메인보드의 IO 쉴드 구성은 상당히 탄탄한데 총 10개의 USB 포트 중에서 4개는 USB 2.0 포트를 2개는 USB 4.0 TypeC 그리고 나머지는 USB 3.2 포트를 가지고 있다.  그 외에 내장되어 있는 WIIFI7 도터보드와 직결되는 안테나를 꼽을 수 있는 구조을 취하고 있다. 




▲ 아마도 많은 분들이 이 메인보드를 구입하게 되면 무거운 2개의 팬을 가진 히트파이프 쿨러를 혹은 3열 이상의 AIO 쿨러를 장착할 듯 한데 로터스 상의 상급 특히나 후면 가이드 부분은 지금까지 볼 수 없었던 상당히 두터운 스틸 소재가 사용된 AM5 소켓을 채용했다.  별것이 아닌 부분이라고 볼 수도 있겠지만 이런 작은 차이들의 메인보드의 전체적인 안정성에 일조하므로 이 로터스 프로세서 소켓의 사용은 상당히 좋아 보였다.






▲ 일차적으로 IO 쉴드 커버를 제거하고 후면의 몇개 나사를 풀게 되면 쉽게 전원부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데 전체적으로  DR.MOS 펫 기반으로 전원부를 구성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칩셋의 PCIe Gen4 1레인을 사용하는 M.2KeyE 방식의 미디어텍 Wi-Fi 7 MT7925 (PCB rev. 1.0) 가 사용되었으며 2.4/5/6 GHz 등 트리플 채널을 지원하며 최대 와이파이7 802.11be 160MHz 까지이다. 그리고 블루투스의 경우는 5.4 버전을 지원한다. 



▲ 기가바이트 X870 Eagle WIFI7 의 와이파이7 다운로딩 속도 (다운로드 업로드 링크 최대 2,404Gbps/2,404Gbps) : 다운로드 1.97Gbps, 업로드 1.65Gbps  



▲ 메인보드에 온보드 되어 있는 리얼텍 2.5Gbps 랜 컨트롤러의 다운로드 및 업로드 성능 


기가바이트 X870 EAGLE WIFI7 바이오스 보기 




▲ 메인보드의 바이오스를 보게 되면 기존의 기가바이트 메인보드 바이오스의 전체적인 두가지 UI 구성을 그대로 빠르고 있었다.  



▲ AMD 라이젠 프로세서의 특성 중에 하나인 PBO 를 보다 다양한 단계로 설정할 수 있었는데 90,80,70 레벨1로 테스트를 진행했을 때 라이젠9 9900X 프로세서는 아래와 같이 작동되었다.  



▲ 70 Level1 설정시 라이젠9 9900X 프로세서는 각기 프로세서는 최소 5.340 GHz, 최대 5.360 GHz 로 작동하며 프로세서 온도 약 70.6 도를 보여주었다.  


 

▲ 80 Level1 설정시 라이젠9 9900X 프로세서는 각기 프로세서는 최소 5.340 GHz, 최대 5.405 GHz 로 작동하며 프로세서 온도 약 72.2 도를 보여주었다.  


 

▲ 90 Level1 설정시 라이젠9 9900X 프로세서는 각기 프로세서는 최소 5.340 GHz, 최대 5.415 GHz 로 작동하며 프로세서 온도 약 73.2 도를 보여주었다.  


 

▲ PBO 설정을 하지 않았을 때 기본 작동 클럭 최소 5.290 GHz, 최대 5.31 GHz 로 작동하며 프로세서 온도 약 73.1 도를 보여주었다. 


이 3가지 옵션을 주었을때 라이젠9 9900X 프로세서의 올-코어 속도는 조금씩 차이를 보였는데 최소 클럭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최대 클럭이 변동되는 것을 실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래서 조금 더 여분의 프로세서 클럭으로 성능을 끌어내기 위한 분들이라면 이 옵션을 90 레벨 1 ~ 5 까지 선택해주는 것이 좋을 듯 하다.   마지막 스크린 캡쳐는 아무것도 설정하지 않은 기본적인 바이오스 값, (PBO 옵션 미설정) 시 나오는 클럭 값으로 바이오스 기본값으로 라이젠 프로세서를 사용하기 보다는 조금데 PBO 옵션을 주어서 여분의 성능을 끌어내는 것을 추천한다.


AMD 라이젠의 든든한 친구, 기가바이트 X870 EAGLE WIFI7 - 제이씨현 


몇 년 전부터 컴퓨티의 중심은 GPU, 그래픽카드가 이끌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엄밀하게는 AI 에 GPU가 주로 사용되다 보니 엔터플라이즈 시장에서 엔비디아의 입지는 굳건해지고 있다.  그렇긴 하지만 반대로 아직은 개인 PC 에서 이 AI 를 사용할 수 있는 범위는 그렇게 크지 않지만 이 역시도 시간이 어느 정도 해결을 해주리라 생각이 된다.   이런 분위기로 인해 몇 년 전 부터 프로세서에 대한 소비지들의 관심이 반감되고 있는데 그의 여파인지 이전 AMD 라이젠 9000 시리즈 프로세서에 대한 전반적인 분위기는 좋지 못하다. 


이런 분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AMD 에서는 하이엔드 라이젠 7, 라이젠 9 7000대 제품을 빠르게 단종시키고 신형 라이젠 9000 시리즈 프로세서로 대체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데 많은 루머를 통해 내년 초에 라이젠 9000 X3D 모델 들을 추가한다는 이야기가 돌았지만 빠르면 다음 달에 최고 하위 모델 그리고 게이밍 프로세서의 명을 잇기 위한 라이젠7 9800 X3D 프로세서가 출시할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라이젠7 7800X3D 구매 예정자들을 그대로 대기 수요로 묶기 위해 최근 해당 프로세서의 수급을 줄인 것 같다. 


오늘 소개한 기가바이트 X870 Eagle WIFI7 - 제이씨현 메인보드는 라이젠 7 시리즈 이상 엄밀하게는 앞으로 출시할 예정인 라이젠7 9800X3D 프로세서 이상을 완벽하게 그리고 넉넉하게 사용하기 위해 타케팅 된 메인보드로 최근 하이엔드 메인보드의 트랜드에 맞게 탄탄한 전원부와 더불어서 유선 인터넷 + 와이파이7 + 블루투스 까지 모두 지원해 게이밍 시스템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 사용할 수 있는 그런 메인보드라고 평가하고 싶다.  이런 외부적인 상위 스펙 지원과 더불어서 개선된 그래픽카드를 쉽게 탈부착하기 위한 이지 렛지와 더불어서 다른 메인보드 제조사들 보다 값비싼 로터스의 AM5 소켓을 사용했다는 점에서 외부적인 스펙 외에도 내부적인 탄탄한 스펙을 가졌다는 점에서 좋은 점수를 줄 수 있는 제품이 아닐까 싶다. 



 

추천 0 비추천 0

SNS공유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메인 배너



댓글(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